내년은 올해보다 5% 최저 임금이 인상된다고 합니다. 많은 자영업자들이 반발을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, 2022년 최저 임금은 얼마이고 월급으로 환산 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 역대 최저 임금과 내년인 2023년도 월급여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2022년 최저 임금 월급
2022년 최저 임금(시급)은 9,160원이고 월급으로 환산시 1,914,440원입니다. 2021년 대비 5% 인상되었고 이때도 자영업주들이 반발이 많이 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. 선진국의 비해서는 최저 임금은 아직까지 미비한 걸로 판단됩니다. 정규직 직장을 얻지 않고도 아르바이트를 해서 먹고살 수 있는 정도의 시급이 되어야 선진국에 버금가는 정도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.
역대 최저 임금 및 월급여
자료를 통해 2016년도 최저임금 부터 2023년 최저 임금과 2024년 예상 최저임금 (5%) 상승 가정했을 시 1만 원을 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년도 | 시급 | 월급 | 직전년도 대비 인상률 |
2024년(예상) | 10,100원 | 2,110,900원 | 5% |
2023년 | 9,620원 | 2,010,580원 | 5% |
2022년 | 9,160원 | 1,914,000원 | 5% |
2021년 | 8,720원 | 1,822,480원 | 1.5% |
2020년 | 8,590원 | 1,795,310원 | 2.9% |
2019년 | 8,350원 | 1,745,150원 | 13.6% |
2018년 | 7,530원 | 1,573,770원 | 16.4% |
2017년 | 6,470원 | 1,352,230원 | 7,3% |
2016년 | 6,030원 | 1,260,270원 |
2024년이 되어야 비로소 1만원이 넘는 시급이 유지될 거 같습니다. 표를 보니 2018년도와 2019년도가 직전년도 대비 시급 인상률이 10% 이상 나왔던걸 볼 수 있습니다.
시급이 올라갈수록 정규직 직장이 아니더라도 아르바이트를 통해서라도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시급 x 209(월소정근로시간) 시간을 하면 월급여를 구할 수 있습니다.
시급이 많이 오를수록 좋다 대신 물가도 오른다.
시급이 오를수록 좋겠지만 그만큼 물가도 많이 올라갑니다. 어렸을 때만 해도 하루 1만 원이면 아침부터 저녁까지 놀 수 있었던거 같은데 요즘은 1만원이면 한 끼 식사 정도 때울 수 있는 수준으로 물가가 많이 올랐습니다. 시급은 올랐지만 물가 또한 올라서 체감상 숫자는 늘어도 살 수 있는 재화는 제한되고 있습니다. 무시무시한 인플레이션으로 전국의 모든 집값이 2배 이상 상승도 하였고요, 자산 가치는 상승하고 돈의 가치는 떨어지고, 월급이 올라도 예전만큼은 아닌 거 같습니다.
2022년 최저 임금 월급 및 시급을 알아보고 역대 최저 임금 수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
2022년 하반기 청년 지원금 6가지 놓치면 손해
2022년 하반기 청년 지원금 6가지 놓치면 손해 볼 만한 혜택을 알아보겠습니다. 첫 번째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금 나이 : 만 19세 ~ 34세 대상 : 무주택 청년 소득 : 부모님 소득 중위 100%, 본인 소득
money-management.tistory.com
MEXC 거래소 수수료 혜택 받고 매매하기 안하면 손해
코인 거래를 하신다면 다양한 거래소를 가입해 놓는 게 좋은데요, 오늘은 MEXC 거래소 일명 맥시라고 불리는 거래소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. 일단 초청 코드로 가입하신다면 최소 10%의 수수료
money-management.tistory.com
'일상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면역력 높이는 음식 10가지 종류와 효능 (5) | 2022.07.06 |
---|---|
예금 이자 높은 은행 및 저축은행 TOP 10 총 정리 (0) | 2022.07.05 |
암 예방에 도움되는 21종류의 음식들 (2) | 2022.06.28 |
여름 과일 종류 및 효능 여름철 제철 과일 (0) | 2022.06.05 |
식후 혈당 정상 수치 체크 기준은 (0) | 2022.05.18 |
댓글